개발공부44 트랜잭션에 대해 알아보자 참고: https://www.youtube.com/watch?v=aX9c7z9l_u8 https://velog.io/@dhldksgehl/%ED%8A%B8%EB%9E%9C%EC%9E%AD%EC%85%98%EC%9D%98-%EA%B2%A9%EB%A6%AC%EC%88%98%EC%A4%80 ⏳ 트랜잭션을 정의해보자 트랜잭션이란? 데이터 베이스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작업 단위로 쪼갤 수 없는 업무 처리의 최소 단위를 말합니다. 모든 DBMS는 자체적으로 트랜잭션을 지원하는데 이러한 트랜잭션을 관리하기 위한 설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 DBMS는 어떻게 반영될까? DBMS는 명령을 끝마칠 때까지 수행내역을 로그에 저장해둡니다. ** Operation 컬럼** 행위를 나타내는 Operation 칼럼을 .. 2023. 9. 15. DB, DBMS, SQL에 대해 알아보자 참고: https://www.oss.kr/oss_guide/show/60a762d2-aae5-4ec7-ae68-fe3c83a6de16 https://velog.io/@developerjun0615/SQL-DDL-DML-DCL-%EC%9D%B4%EB%9E%80 ⏳ 들어가며 - DB 데이터 베이스란? 체계적으로 구성된 데이터의 모음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 저장소입니다. 이러한 DB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소프트웨어를 DBMS(DataBace Management System)라고 합니다. ⏳ DBMS 가 뭘까? 데이터 베이스를 운영하고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입니다. 계층형, 망형, 관계형 DBMS 중 대부분의 DBMS가 테이블로 구성된 관계형(RDBMS) 형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1960년대에 처음 등장한 후.. 2023. 9. 12. [네트워크] OSI 7계층에 대해 탐구해보자 참고: https://huimang2.github.io/etc/iso-standard-7498 ⏳ 네트워크가 뭐지? 네트워크는 컴퓨터, 기기 또는 시스템 간에 데이터와 정보를 공유하고 통신하기 위한 연결된 구조를 가르킵니다. 현재의 인터넷은 OSI모델 대신 TCP/IP 모델을 기반으로 구축되어 있습니다. 두 모델은 모두 네트워크 통신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참조 모델이지만 TCP/IP 모델이 현실 세계에서 더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현대 인터넷을 구성하는 핵심 프로토콜과 프로토콜군의 모임)의 기반이되며, 다양한 디바이스 및 서비스 간의 효과적인 통신을 지원하는 핵심 역할을 합니다. (TCP/IP가 가장 많이쓰이기 떄문에 TCP/IP 프로토콜 슈트라고도 합니다.) ⏳ OS.. 2023. 9. 5. [자료 구조] 자바 컬렉션(Collection)에 대해 알아보자 - Java ⏳ 들어가며 - 컬렉션(Collection)이란? 자바에서 컬렉션 프레임워크는 데이터를 저장,관리 및 조작하기 위한 자료구조의 집합을 말합니다. 컬렉션은 자바의 java.util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 자바 컬렉션 프레임워크 주요 인터페이스 컬렉션 인터페이스는 List, Queue, Set 3가지의 상위 인터페이스로 분류된다. Map은 컬렉션에 포함되지 않지만 Collecion으로 보통 분류하는 편입니다. ⏳ List 인터페이스 리스트는 순서가 있는 데이터의 집합으로, 데이터의 중복을 허용합니다. ArrayList - 데이터에 대한 인덱스를 가지고 있어 조회 기능에 성능이 뛰어납니다. - 가변크기의 배열로 구현되며 빈공간이 생기면 요소 위치가 자동 이동됩니다. - List 컬렉션을 여러 스레드에.. 2023. 8. 31. 이전 1 ··· 4 5 6 7 8 9 10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