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18 REST, REST API 제데로 알아보자 그놈의 Rest, RestAPI, RestFull API … 서버를 개발하고 회사의 JD(직무분석)를 분석하다보면, Rest 프로그래밍(설계) 이라는 단어를 자주 접하게 된다. 블로그나 유튜브를 보며 REST를 정의 했을때, REST란 자원의 상태를 URL에 담아 표현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다른 개발자분들이 REST에 대해 정의를 해보라고 했을때 설명하기 난해하였고 설명이 진정한 REST가 맞냐는 말에 나는 대답을 하지 못했다. 그래서 REST 이놈이 어떤것인지 정확히 정의하기 위해 REST를 파보기로 했다.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정의? REST는 HTTP프로토콜을 그대로 활용하여 웹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아키텍처 원칙 세트이다. 즉, 리소스를 이.. 2023. 10. 17. SQL JOIN SQL JOIN JOIN은 데이터 베이스 내에 여러 테이블에서 가져온 레코드를 조합하여 하나의 테이블이나 결과 집합으로 표현해 주는, 관계형 디비(Relation Database)에서 많이 쓰인다. JOIN 관계에 부합되는 레코드들을 모두 가지게 되고, 조인에 부합되지 않는 레코드들은 모두 삭제된다. INNER JOIN 조인하는 테이블의 ON 절의 조건이 일치하는 결과만 출력 표준 SQL과는 달리 MySQL에서는 JOIN, INNER JOIN, CROSS JOIN이 모두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고 한다. SELECT u.userid, 이름 FROM userTB as u INNER JOIN buyTB AS b ON u.userid = b.userid -- join을 완료하고 그 다음 조건을 따진다고 한다. W.. 2023. 10. 15. 서브쿼리(Subquery)란 ✔️서브쿼리(Subquery)에 대해서 알아보자. 데이터 조회를 하다보면, 잦은 빈도로 서브쿼리를 사용하게 된다고 한다. 보통 서브쿼리는 실행 속도가 느려서 잘 안쓰는 것으로 막연하게 알고있어서 정리가 필요하다고 느꼈다. ✔️서브쿼리(Subquery)개념잡기 개념 서브쿼리는 하나의 SQL문 내에 괄호()로 감싸져서 표현되어 있는 또 다른 SQL문을 말한다. 서브쿼리를 포함하고 있는 쿼리를 외부쿼리(outer query)라고 부르며, 서브쿼리는 내부쿼리(inner query)라고 부른다. SQL 내부에서 작성되는 일시적인 테이블인데, 여기서 '일시적인 테이블’이라는 부분이 성능적인 차이를 불러온다. 구분 설명 특징 테이블(Table) DB에 물리적으로 저장된 데이터(영속적) 영속적 뷰(View) 가상의 .. 2023. 10. 15. 로드밸런서(Load Balancer)란? 로드밸런서에 대해서 알아보자. 현대의 모든 정보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인터넷의 발달로 데이터 통신이 많아졌고 이는 트래픽의 폭발적인 증가로 이어졌다고 한다. 트래픽의 폭발적인 증가 아무리 성능이 뛰어난 서버라고 해도 모든 트래픽을 감당해낼 수 없게됐다. 이에 기업은 서버를 추가로 구비하고 여러 대의 서버에 동일한 데이터를 저장해 수많은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분산하게 되었다. 그런데 단순히 다수의 서버를 구축해 운영한다고 해서 모든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일관성 있게 응답할수 있을까? 로드 밸런싱? 쏟아지는 트래픽을 여러 대의 서버로 분산해주는 기술이 없다면 한 곳의 서버에 모든 트래픽이 몰리는 상황이 발생할 것이다. 이때 필요한 기술이 로드 밸런싱 이다. 로드 밸런서는 서버가 처리해야 하는 업무나 .. 2023. 10. 13. 이전 1 2 3 4 5 다음